개발/IT 뉴스

📰 ITimes 🚨 1주차

정소은 2023. 7. 4. 23:27

 

 

요새 영어 공부에 좀 소홀했기도 하고 IT 관련 뉴스도 자주 읽어야 할 것 같아서

IT 영문기사 읽기 스터디 ITimes를 만들었다~~!~!!

 

 

 

 


 

 

 

✨ 1주차  -  지원 언니 ✨

https://mashable.com/article/chatgpt-case-lawyers-fined-5000

 

Lawyers fined $5K for using ChatGPT to file lawsuit filled with fake cases

Things could've gone much worse for the attorneys. However, they are considering an appeal.

mashable.com

 

 

 

📎 독해 

 

 

 

 

📎 논제 

 

1) 기사 속 판사의 판결에 동의하나요? 변호사가 법정 소송에 인공지능을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하는지 혹은 아닌지,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2) 기사의 사례처럼 chatGPT 또는 데이터 학습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이 악용된 사례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요? 혹은 앞으로 어떻게 악용될 우려가 있을지 자유롭게 이야기해봅시다.

3) chatGPT가 상용화되면서 그와 관련한 법안이 도입된다면 어떤 법이 필요할지 의견을 나눠봅시다.

 

 

내 의견 정리

 

논제 1

동의

판례란 곧 데이터고 그 양은 매우 방대하다. 이 방대한 데이터를 가장 잘 처리하고 적재적소에 딱 알맞은 판례를 찾아낼 수 있는 것은 인간보다 인공지능이다. 그렇기에 인간은 결국 인공지능에 기댈 수밖에 없을 것이고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다만 현재의 인공지능은 오류도 많고 불안정하기에 제대로 사실 확인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처벌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미래에 인공지능이 더욱 발전한다 하더라도 결국엔 (오류가 있을지 모르는)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항상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논제 2

사람들이 chatGPT에 점점 더 의존할수록 출처가 chatGPT라면 무조건적으로 맹신하는 일이 벌어질 우려가 있다.

 

논제 3 

chatGPT에 입력된 데이터를 누가 소유할 것인지에 대한 법안이 필요할 것 같다. 미래에 데이터는 화폐를 대체할지도 모른다. 사람들은 챗 지피티뿐만 아니라 데이터 학습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이 제공하는 맞춤화된 데이터에 더욱 의존하게 될 것이고 더욱더 개인적인 데이터를 거의 매 선택의 순간마다 입력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데이터 학습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에는 사람들이 어떤 알고리즘으로 움직이는지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게 될 것이다. 이 데이터가 국가에 귀속된다면 폭력적이고 직접적인 독재보다도 더 무서운 일이 벌어질지도 모른다. 대중은 자신이 통제 당하고 있다는 걸 모르는 채로 국가가 원하는 대로 조종당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데이터는 어떻게 분배되어야 할까? 에 대한 논의와 법안이 어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토론 / 토의

 

 

 

나온 의견들로 카드 뉴스 만들어 볼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