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8. 1. 15:10ㆍ개발/IT 뉴스
✨ 4주차 - 민경 언니 ✨
생성형 A.I.로 그린 예술 작품이 대회에서 수상한 내용
https://www.nytimes.com/2022/09/02/technology/ai-artificial-intelligence-artists.html
An A.I.-Generated Picture Won an Art Prize. Artists Aren’t Happy.
“I won, and I didn’t break any rules,” the artwork’s creator says.
www.nytimes.com
📎 독해
📎 논제
1. 작년 수상작인 Allen이 생성형 AI를 사용하여 만든 예술 작품으로 대회에서 수상한 것에 대해 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llen의 의견에 동의하나요? 아니면 이를 비판하는 사람들의 의견에 동의하나요?
2. 부정행위의 판단 여부를 떠나 생성형 AI 등이 많은 순수 예술가들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는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예술계는 과연 AI의 발달과 예술로의 응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나아가야 할까요?
3. 기사의 마지막에 “This isn’t going to stop,” Mr. Allen said. “Art is dead, dude. It’s over. A.I. won. Humans lost.”
라는 문구가 주는 의미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같이 생각해보고 의견을 나눠봅시다
내 의견 정리
논제 1
Allen의 수상이 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창작 활동 또한 생성형 AI의 작동 구조와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예술은 모방에서 시작된다’는 말처럼 인간 예술가들 또한 수많은 예술가들(선대와 현존 예술가들을 통틀어서)을 참고하여 작품을 만들어낸다. 그렇다고 그들은 그들이 참고한 예술가들에게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다. 사실상 그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어떤 인간 예술가도 그들의 작품에 영향을 준 예술가 혹은 작품을 명확히 규명해낼 수 없다. 생성형 AI 또한 같은 구조로 작동된다. 다른 점은 그 속도와 노력의 크기 정도일 것이다. 또한 현재 기술의 흐름에 맞추어 생각한다면 아름다운 작품을 창조해내기 위한 키워드를 조합하는 것 또한 예술의 일부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논제 2
미래의 예술가들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번째는 AI를 발달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I의 창조는 결국 그것이 갖고 있는 데이터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새로운 변수를 제공해줄 만한 데이터를 주입해주는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두번째는 AI가 생성해낸 작품을 평가하는 것이다. AI가 생성해낸 작품들의 예술성을 평가하여 그것의 가치를 판명하거나 클라이언트의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작품을 선정하는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논제 3
이 문구는 사실 예술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분야에 해당하는 말이라 생각한다. 현재 AI는 인간이 제공하는 데이터 내에서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 그친다. 하지만 이 정도로도 대부분의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다.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AI의.결과물을 평가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른 사람만이 살아남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개발중인 AI는 이마저도 훌쩍 뛰어넘는다. 인간이 제공하는 데이터의 도움 없이 스스로 성장하는 것이다. 이게 기술적으로 정말 가능해진다면 그것은 말 그대로 인간의 패배이자 AI의 완전한 승리일 것이다.
🚨 토론 / 토의
https://www.canva.com/design/DAFqRUen1FE/vn6twnm3wDryQzEbpq1GCQ/edit
'개발 > IT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Times 6주차 🚨 (1) | 2023.08.08 |
---|---|
📰 ITimes 5주차 🚨 (0) | 2023.08.02 |
📰 ITimes 3주차 🚨 (0) | 2023.07.18 |
📰 ITimes 🚨 2주차 (0) | 2023.07.10 |
📰 ITimes 🚨 1주차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