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UMC 백엔드 과정 🖤(9)
-
🖤 IP (Internet Protocol) 🖤
IP ( Internet Protocol )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고유 주소 IPv4 vs IPv6 IP는 IPv4와 IPv6가 있는데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IPv4다. IPv4는 123.89.46.72 처럼 10진수 형식으로 표시된 4개의 숫자를 마침표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마침표로 구분된 4개의 숫자를 각각 8비트씩 2진법으로 표현하면 8x4 = 32 비트의 숫자가 된다. 즉, IP는 2³² ≒ 43억개의 주소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사용자가 급등하면서 IP주소의 고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IPv6이며 IPv6는 마침표로 구분된 4개의 숫자를 32비트씩 2진법으로 표현하여 총 32x4 ..
2023.10.07 -
🖤UMC 서버 1주차 스터디 - 서버란 무엇인가(소켓 & 멀티 프로세스)🖤
0. 사전 지식 1 ) 시스템 콜 컴퓨터 내에서 수행되는 명령에는 일반 명령과 특권 명령이 있다 일반 명령은 유저가 내릴 수 있는 매우 간단한 명령을 의미하고 특권 명령은 유저가 내릴 수 없는 보안이 필요한 명령을 의미한다 일반 명령은 유저 레벨에서 수행이 가능하지만 특권 명령은 유저 레벨에서 제공하는 함수만으로는 수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커널의 도움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이때 운영체제의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시스템 콜이라고 한다 우리는 대부분 특권 명령으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콜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2 )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 :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스레드 :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프..
2023.09.27 -
🖤 UMC 5기 지원 🖤
2학년 2학기에 들어오면서 본격적으로 백엔드 공부와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싶어서 개발 동아리를 나름대로 열심히 조사하기 시작했다 내가 개발 동아리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강의 세션, 프로젝트, 네트워킹이기 때문에 이 세 가지 키워드를 위주로 정리해보았다 ( 급하게 호다닥 조사한 거라서 정확하지 않을 수도.... ) 현재 내 백엔드 스탯 ( 스프링 찍먹, JAVA 찍먹냠냠 ) 과 앞서 말했던 개발 동아리를 지원하는 목적에 모두 부합하는 UMC 서버 파트(Spring)에 지원하게 되었다! 지원하는 과정에서 조사해본 UMC의 활동들을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학기 중에는 파트별 스터디를 통해 컴공 선배에서 제공하는 강의를 들으면서 워크북을 수행하고 방학에는 PM, Front-End, Back-End, Desig..
2023.09.14